리스트, 딕셔너리 함수 - 추가, 삭제, 길이, 정렬
1. 리스트 내장함수 Built-in * 함수? 반복 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기능 묶음을 만드는 것. 1. 리스트의 길이 len(변수) list=[1,2,3] len(list) # 결과 3 2. 리스트 최대 요소 max(변수) list=[3,2,1] print(max(list)) #결과 3 3. 리스트 최소 요소 min(변수) list=[3,2,1] print(min(list)) #결과 1 4. 원소 정렬 sorted(변수) sorted(iterable[, key=][, reverse=]) - 원본 리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,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 - 모든 반복 가능한 객체(iterable)에 동작 가능 ex)문자열,list,tuple,dic 등 x = [3,2,1] print(sorted(..
2020. 6. 23.
파이썬 자료형 -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 차이
*연관있는 데이터들을 묶어주기 위해 생긴 '자료를 관리해주는 자료형' 1. 리스트 자료형 - 변할 수도 있는 데이터들을 나란히 묶어주는 자료형 - 변할 수 있다 == 원소 생성, 삭제 등 가능 - [] 대괄호로 작성되어지며, 내부 원소는 콤마(,)로 구분되어 집니다. - 100A, 90B, 80C, 92A, 98A list01 = ["100A", "92A", "98A"] 이런 데이터들이 있을 때 A끼리 묶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리스트 자료형이다. list = [2, 5, 7] type(list) #결과는 'list'로 나옴 - 리스트 곱셈 [2, 5, 7]*3 == [2, 5, 7, 2, 5, 7, 2, 5, 7] - 리스트 덧셈 [2, 5, 7]+[8, 9]==[2, 5, 7, 8, 9] -..
2020. 6. 19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