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발자국98

파이썬- 조건문, 반복문 제어문: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 -> 이때까지는 아래에서 위로 코드가 흘렀습니다. 하지만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어떤 부분은 실행하기도 하고, 점프하기도 하고 싶어졌습니다. 이렇게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문이 탄생했습니다. 1. 조건문: 조건에 충족할 때 수행 if(조건문: 만약 10000원 이상있다면): elif(다른조건: 10000원 미만 5000원이상이라면): else: *else if = elif #돈에 따라 음식 정할 때 money = int(input("돈이 얼마 있나요?: ")) if(money>=10000): print("고기!") elif(5000 무한루프와 break는 자주 사용되어짐 => ex) 10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인 숫자가 input으로 들어오면 그만두었으면 .. 2020. 6. 23.
리스트, 딕셔너리 함수 - 추가, 삭제, 길이, 정렬 1. 리스트 내장함수 Built-in * 함수? 반복 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기능 묶음을 만드는 것. 1. 리스트의 길이 len(변수) list=[1,2,3] len(list) # 결과 3 2. 리스트 최대 요소 max(변수) list=[3,2,1] print(max(list)) #결과 3 3. 리스트 최소 요소 min(변수) list=[3,2,1] print(min(list)) #결과 1 4. 원소 정렬 sorted(변수) sorted(iterable[, key=][, reverse=]) - 원본 리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,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 - 모든 반복 가능한 객체(iterable)에 동작 가능 ex)문자열,list,tuple,dic 등 x = [3,2,1] print(sorted(.. 2020. 6. 23.
파이썬 문자열 내장함수 - 길이, 특정 문자 개수, 나누기 *함수란? 코드를 기능으로 묶은 단위, (어떤 기능을 코드로 묶은 것) 파이썬에는 여러 개의 내장함수가 존재합니다. 그중에서도 문자열과 관련하여 자주 사용하는 함수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 1. 문자열의 길이를 나타내는 함수 - len(문자열 변수) data = "대구광역시 달서구" print(len(data)) 더보기 => 9 2. 문자열 내에서 특정 문자의 등장 횟수 - 문자열 변수.count("변수") data = "대구광역시 달서구" print(data.count("대")) 더보기 => 1 3. 문자열을 특정 기준으로 나누기 - 문자열 변수.split() -> 아무것도 적어주지 않으면 공백을 기준으로 나뉘어진 것 data = "대구광역시 달서구" print(data.split()) 더보기 => .. 2020. 6. 23.
파이썬 자료형 -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 차이 *연관있는 데이터들을 묶어주기 위해 생긴 '자료를 관리해주는 자료형' 1. 리스트 자료형 - 변할 수도 있는 데이터들을 나란히 묶어주는 자료형 - 변할 수 있다 == 원소 생성, 삭제 등 가능 - [] 대괄호로 작성되어지며, 내부 원소는 콤마(,)로 구분되어 집니다. - 100A, 90B, 80C, 92A, 98A list01 = ["100A", "92A", "98A"] 이런 데이터들이 있을 때 A끼리 묶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리스트 자료형이다. list = [2, 5, 7] type(list) #결과는 'list'로 나옴 - 리스트 곱셈 [2, 5, 7]*3 == [2, 5, 7, 2, 5, 7, 2, 5, 7] - 리스트 덧셈 [2, 5, 7]+[8, 9]==[2, 5, 7, 8, 9] -.. 2020. 6. 19.
728x90